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 SDF) 개념
[작성자: 티엠넘버스 남범우] bumu@tmnubmers.com

<그림.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 의 포장 기계 사례 (출처: SEW eurodrive)>
이번 글에서는 지난 AW 2025 참관기에서 간략히 소개한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 SDF) 개념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 SDF)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유연한 제조 환경을 구축하는 개념으로, 공장의 하드웨어 및 생산 공정을 소프트웨어로 제어하고 최적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은 IT(정보기술)과 OT(운영기술)을 융합하여 스마트팩토리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 제조 환경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표.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의 7가지 특징 및 정의>
구분 | 주요 특징 | 내용 |
1 |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 ∙ 센서를 통한 데이터 실시간 수집 및 분석 ∙ 클라우드 ․ 엣지 컴퓨팅 기반 대규모 데이터 처리 및 지연 최소화 ∙ 생산 현황 및 품질 변화를 즉각 감지해 이상 상황에 대응 |
2 | AI 기반 품질 모니터링 | ∙ 머신러닝 ․ 딥러닝을 통한 불량품 검출 및 결함 패턴 분석 ∙ 비전(Vision) 시스템과 연동하여 제품 표면 ․ 내부 결함 자동 검출 ∙ 적응형 모델(Adaptive Model)로 공정 변화에도 지속적인 정확도 유지 |
3 | 공정 최적화 | ∙ 생산과 품질 데이터 통합 및 분석으로 공정 파라미터(온도, 압력, 속도 등) 자동 제어 ∙ 폐루프 제어(Closed-loop Control)로 동적 ․ 지능형 공정 설정 가능 ∙ 생산 일정 및 자원 배분 최적화로 낭비 요인 최소화 |
4 | 유연한 재구성 및적응 | ∙ 소프트웨어 정의 방식을 통해 공정 변경 및 신제품 생산에 대응 ∙ 모듈화․ 재사용 가능한 공정 설계로 특정 모듈만 교체하거나 업데이트 가능 ∙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으로 가상 시뮬레이션 후 실제 공정에 반영 |
5 | 예측 유지보수 | ∙ 장비 상태 데이터를 분석해 고장 가능성 예측 및 유지보수 시점 결정 ∙ 불필요한 장비 교체나 점검을 줄여 비용 효율과 생산성 극대화 ∙ AI 기반 고장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으로 개선책 도출 |
6 | 운영 효율성 및 의사결정 지원 | ∙ 대시보드 ․ 알림 시스템으로 실시간 현황 모니터링 및 신속 대응 ∙ AI 모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 구축 ∙ 엔지니어 ․ 관리자 ․ 현장 작업자 간 통합 플랫폼을 통한 협업 및 정보 공유 |
7 | 확장성 및 표준화 | ∙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native) 인프라로 확장 및 대규모 연산 지원 ∙ OPC UA, MQTT 등 산업 표준 프로토콜과 오픈 API 활용 ∙ 사이버 보안 ․ 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로 안전하고 신뢰도 높은 운영 환경 조성 |
* AI 기반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을 활용한 제조 혁신(임규혁, 2025) 참고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의 개념은 기존의 스마트팩토리 개념에서 개선 발전된 것으로 기반 기술, 생산 방식, 유연성, 최적화 방식, 확장성 등의 측면에서 스마트팩토리와 차이를 보입니다.
<표.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와 스마트 팩토리와의 차이점>
항목 | 스마트팩토리 |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 |
기반 기술 | IoT, 자동화 시스템 | 클라우드, AI, 디지털 트윈, 마이크로서비스 |
생산 방식 | 일부 자동화, 운영기술(OT) 중심 | 완전 자동화, IT-OT 융합 |
유연성 | 상대적으로 제한적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만으로 즉각적인 변경 가능 |
최적화 방식 | 센서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제한적 최적화 | AI 기반의 실시간 최적화 및 자율 운영 |
확장성 | 공장별 맞춤형 적용 | 클라우드 기반 확장성 제공 |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은 제조 공정의 완전한 디지털화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디지털 트윈, IoT, 엣지 컴퓨팅, AI 등의 기술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에서는 기존 하드웨어 중심의 제조 페러다임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함에 따라 제조 공정의 유연성, 민첩성, 지능화를 가속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만,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의 통합/연계 가능성 및 보안/신뢰성 문제는 향후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의 적용 확대를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입니다.
#소프트웨어정의공장 #SoftwareDefinedFactory #SDF #스마트팩토리 #디지털제조 #AI제조 #디지털트윈 #예측유지보수 #자율공정 #ITOT융합 #산업AI #클라우드제조 #엣지컴퓨팅 #공정최적화 #제조혁신 #AI공장 #산업자동화 #AI의사결정 #OPCUA #산업표준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 SDF) 개념
[작성자: 티엠넘버스 남범우] bumu@tmnubmers.com
<그림.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 의 포장 기계 사례 (출처: SEW eurodrive)>
이번 글에서는 지난 AW 2025 참관기에서 간략히 소개한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 SDF) 개념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 SDF)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유연한 제조 환경을 구축하는 개념으로, 공장의 하드웨어 및 생산 공정을 소프트웨어로 제어하고 최적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은 IT(정보기술)과 OT(운영기술)을 융합하여 스마트팩토리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 제조 환경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표.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의 7가지 특징 및 정의>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 클라우드 ․ 엣지 컴퓨팅 기반 대규모 데이터 처리 및 지연 최소화
∙ 생산 현황 및 품질 변화를 즉각 감지해 이상 상황에 대응
모니터링
∙ 비전(Vision) 시스템과 연동하여 제품 표면 ․ 내부 결함 자동 검출
∙ 적응형 모델(Adaptive Model)로 공정 변화에도 지속적인 정확도 유지
∙ 생산과 품질 데이터 통합 및 분석으로 공정 파라미터(온도, 압력, 속도 등) 자동 제어
∙ 폐루프 제어(Closed-loop Control)로 동적 ․ 지능형 공정 설정 가능
∙ 생산 일정 및 자원 배분 최적화로 낭비 요인 최소화
∙ 모듈화․ 재사용 가능한 공정 설계로 특정 모듈만 교체하거나 업데이트 가능
∙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으로 가상 시뮬레이션 후 실제 공정에 반영
∙ 불필요한 장비 교체나 점검을 줄여 비용 효율과 생산성 극대화
∙ AI 기반 고장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으로 개선책 도출
의사결정 지원
∙ AI 모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SS) 구축
∙ 엔지니어 ․ 관리자 ․ 현장 작업자 간 통합 플랫폼을 통한 협업 및 정보 공유
표준화
∙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native) 인프라로 확장 및 대규모 연산 지원
∙ OPC UA, MQTT 등 산업 표준 프로토콜과 오픈 API 활용
∙ 사이버 보안 ․ 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로 안전하고 신뢰도 높은 운영 환경 조성
* AI 기반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을 활용한 제조 혁신(임규혁, 2025) 참고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의 개념은 기존의 스마트팩토리 개념에서 개선 발전된 것으로 기반 기술, 생산 방식, 유연성, 최적화 방식, 확장성 등의 측면에서 스마트팩토리와 차이를 보입니다.
<표.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와 스마트 팩토리와의 차이점>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은 제조 공정의 완전한 디지털화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디지털 트윈, IoT, 엣지 컴퓨팅, AI 등의 기술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에서는 기존 하드웨어 중심의 제조 페러다임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함에 따라 제조 공정의 유연성, 민첩성, 지능화를 가속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만,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의 통합/연계 가능성 및 보안/신뢰성 문제는 향후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의 적용 확대를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입니다.
#소프트웨어정의공장 #SoftwareDefinedFactory #SDF #스마트팩토리 #디지털제조 #AI제조 #디지털트윈 #예측유지보수 #자율공정 #ITOT융합 #산업AI #클라우드제조 #엣지컴퓨팅 #공정최적화 #제조혁신 #AI공장 #산업자동화 #AI의사결정 #OPCUA #산업표준